MFI(Money Flow Index)
Money Flow Index로 해석하면 현금 흐름 지표이다.
일단 먼저 MFI를 통해서 현금 흐름 추세를 쉽게 볼 수 있고, MFI의 다이버전스(Divergence)를 추세전환 파악에 활용할 수 있다.
주가는 상승하는데 MFI는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면 상승세가 하락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강력한 추세반전의 신호!
주가는 하락하는데 MFI는 상승하면, 곧 하락세가 상승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강력한 추세반전의 신호가 된다!
(알파스퀘어 땡큐)
디테일하게 보자면,,,
일반적으로는 주가를 볼 때 그날의 종가를 보고 사용하지만, 중심 가격을 사용하면 트레이딩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주가 포인트를 잘 볼 수 있다.
* (중심가격 = 일정 기간의 (고가 + 저가 + 종가) / 3)
중심 가격에 거래량이 곱해지면, 현금흐름이다. 그래서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분석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
MFI '거래량을 감안한 RSI'로 알려져 있기도 하고 RSI의 개념을 도입한 지표라고도 한다.
RSI는 n일동안의 상상일 상승폭 합과, 하락일 하락폭 합계를 사용하는 것인데 (추후에 다시 다뤄본다)
즉, 두 지표 모두 거래량을 잘 고안한 지표라고 보인다.
MFI의 공식
MFI = 100 - (100 / (1 + (긍정적 현금흐름 / 부정적 현금흐름)))
(블로그에 수식 입력하는걸 알아봐야겠드아..)
깔끔하게 다시 보면..
여기서 긍정적, 부정적 현금흐름 그리고 위 수식에서 말하는 SUM_MF+,- 는 동일하다.
긍정적 현금 흐름은 중심 가격이 전일보다 상승한 날들의 현금 흐름 합,
부정적 현금 흐름은 중심 가격이 전일보다 하락한 날들의 현금 흐름 합이다.
위에서 보는 것처럼 0, 50, 100 기준선으로 MFI흐름을 보이게 되는데
보통은 20과 80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MFI가 80을 넘어서게 되면 아주 강력한 매수신호, 20을 뚫고 내려가면 강력한 매도 신호라고도 본다.
-> 곧 파이썬으로 간단히 구현한다..
'Economy & Finance >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aday Intensity Index (일중강도지수) (0) | 2022.03.21 |
---|---|
TOOL - 알파스퀘어(국내주식, 해외주식, 실시간 한국/미국 주식) (5) | 2022.03.19 |
MDD (최대 손실 낙폭) (1) | 2021.11.24 |
[Strategy] 듀얼 모멘텀 전략 (0) | 2021.11.15 |
EPS, BPS (0) | 2021.10.30 |